본문 바로가기
START Startup

시장규모는 어떻게 추정하거나 계산해야할까?

by 마이티우스 2024. 11. 29.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타트업이나 기업 활동을 하면서, 작성해야 하는 것이 반드시 있는데, 바로 사업계획서입니다.

사업계획서라는 말을 듣기만 해도 벌써 머리가 어지러워지는데요. 그래도 사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투자도 받을 수 있고 정부지원사업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부분은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그 자체만으로 실제로 앞으로 내가 진행할 사업의 가능성을 판단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사업계획서는 다양한 양식으로 존재합니다. 그러나 그중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내용은 바로 시장규모(Market Size)입니다.

반응형

1️⃣시장 규모란 무엇일까?

시장규모란 특정 산업이나 시장의 매출의 총합 혹은 판매량으로 측정될 수 있는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한 마디로 "당신이 하려는 사업의 분야에 얼마나 많은 돈이 있는지"라는 것을 객관적으로 제시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시장규모가 사업에서 중요하게 바라보고 있는 것일까요? 그 이유는 충분한 수요가 있는 것인가와 연관이 됩니다.

아래와 같이 A와 B라는 시장을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 A 시장의 전체 규모는 10억 원이다.
  • B 시장의 전체 규모는 100억 원이다.

만약 여러분이 1억 원을 A와 B 시장을 목표로 하는 기업에 투자를 한다고 한다면, 어떤 기업에 투자를 하실 건가요? (현재 수익률과 성장률 등은 제외하고) 많은 분들이 아마도 B라는 시장에 투자를 한다고 하실 것 같은데, 조금 더 상세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투자자라고 생각해서 아래의 조건을 생각해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A와 B 시장에 진입하는 기업이 시장의 점유율을 50%를 가져가는 반독점 기업으로 성장한다

그렇다면 결과는 어떻게 될까요?

  • A 시장의 전체 규모 10억 원에서 50%인 5억 원의 기업가치
  • B 시장의 전체 규모 100억 원에서 50%인 50억 원의 기업가치

이렇게 결정이 되겠네요. 그렇다면, 1억 원의 투자금을 투자했을 경우, 위 2개의 기업가치가 동일하고, 10%의 지분을 획득했다면 어떻게 됐을까요?

  • A 기업의 10% 지분을 획득했으니, 5억 원의 10%인 5,000만 원의 기업가치
  • B 기업의 10% 지분을 획득했으니, 50억 원의 10%인 5억 원의 기업가치

정말 단순하게 계산을 한 것이지만, 투자자의 관점에서 봤을 때, 기업의 가치는 차이가 나게 됩니다. 이처럼 시장 규모는 사업을 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돈이 있는 곳에서 놀아야 돈을 번다"라는 말이 있듯이 돈이 있는 곳에서 사업을 하는 것은 곧 수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2️⃣MIT에서도 이야기합니다. 먼저 시장규모를 파악하라고...

 

MIT 스타트업 바이블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스타트업 창업과 관련해서 MIT 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했던 내용을 책으로 만든 것인데, 여기서도 빠른 시점에서 시장 규모를 파악하라고 합니다.

MIT 스타트업 바이블 24단꼐 창업 프로세스

역시 앞서서 이야기한 내용과 유사한 내용입니다. "돈이 있는 곳에서 놀아라"라는 말이죠.

책에서 이야기하는 24단계의 프로세스 중에서 4번 단계인 총 유효 시장의 규모를 파악하라는 부분이 시장규모를 파악해야 한다는 부분이랑 연관이 됩니다. 

앞에 있는 프로세스 중에서 2단계 거점시장이 프로세스가 있는데, 이는 총 유효 시장으로 가기 전 초기 진입하는 시장을 말합니다. 기업이 성장을 하기 위해서, 스탭 바이 스탭으로 성장을 하는데, 첫 번째 스탭은 어떤 시장인지에 대해서 확인하는 부분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이는 추후에 조금더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3️⃣ 시장규모를 어떻게 찾아야 할까?

시장규모를 가장 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은 바로 인터넷 검색입니다. 너무 쉽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만,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AI를 통해서도 찾아낼 수 있습니다. 어느 정도까지는요.

최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반려동물 산업으로 한 번해 볼까요?

구글에서 반려동물 시장 규모를 검색하면, 바로 나옵니다. 8.5조 원이라고 나옵니다. 해당 자료를 클릭해서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추정치 데이터가 나오는데, 여기에서는 반려견과 반려묘의 개체수를 기준으로 시장규모를 추정했습니다. 왜냐하면, 개체수 자체가 추정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여기서 몇 가지 조건을 추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조건 A: 내가 하는 사업이 만약에 반려견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이라면?
  • 조건 B: 반려견 사업 중에서 사료만 한다면?

어떤가요? 위의 조건을 추가하면, 인터넷에서 찾은 데이터를 쓸 수가 있을까요? 데이터를 한 번 가공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 조건 A : 반려견과 반려묘에 사용하는 금액이 같다는 가정하에 전체 798.9만 마리에서 8.5조 원을 나누면, 1마리당 약 106만 원이고, 다시 반려견 544.8만 마리를 곱하면, 5조 7,748억 원으로 시장규모는 조정이 됩니다.
  • 조건 B : 반려견 사료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다시 산업 분포를 찾아봐야 알 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단순하게 검색해서는 정확하게 내 사업의 규모를 측정하기가 어렵습니다. 반려동물의 데이터는 실제로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데이터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추정치가 많아서 그대로 쓰기에는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두에 말씀드렸듯 어느 정도까지는 인터넷으로 정보를 찾을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조금 더 디테일하게 들어가면, 객관적인 추정의 영영으로 들어가야 할 수 있습니다.

 

 

4️⃣ 시장규모를 기업의 관점에서 계산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잠시 위의 내용을 돌이켜 보면, 인터넷에서 시장규모를 찾을 수 있으나, 내 사업 분야에 맞게 여러 가지 조건들을 넣어서 시장 규모를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렇다면 시장규모를 외부에서는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요?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A : 반려견 사료를 만들고 있으며, 저희 전체 목표 시장은 반려동물 시장 8.5조 원입니다. 
  • B : 반려견 사료를 만들고 있으며, 저희 전체 목표 시장은 반려견 사료 시장 3조 원입니다.

위 A와 B가 제시하는 시장규모를 들으면, 저는 아래처럼 생각을 할 것입니다.

  • A : 반려견 사료에서 반려동물 사업에 포함되는 사료, 의료, 용품 등 분야로 브랜드를 확장할 계획인 것 같군!
  • B : 반려견 사료에서 (현재는 어떤 제품인지는 모르겠으나) 유아기, 청년기, 노년기 혹은 비타민 등 특수 사료분야로 확장할 계획인 것 같군! 

구체적인 내용은 없지만, 단순히 앞선 내용만 들었다면, 저는 이처럼 생각할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이 드시나요?

이처럼 반려견 사료라는 첫 번째 스탭을 제시했고, 그다음으로 제시하는 전체 목표 시장규모가 다르게 제시할 수 있지 않을까요? 동일한 아이템에서 시작을 할 수 있으나 최종의 목표는 각기 다를 수 있습니다.

사료에서 출발해서 사료로 끝날수 있는가 하면, AI기술을 넣어서 맞춤형 사료로 갈 수 있고, 비타민이나 영양제를 넣은 특수 사료로 갈 수 있으며, 반려견을 넘어선 반려묘 사료 향해 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체 시장의 규모를 어떤 게 산정하고, 정의하는지에 따라서 기업이 목표하는 방향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사업을 하다 보면 전체 시장의 규모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만, 현재 시점에서의 기업의 방향성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시장규모는 항상 그렇지만, 매우 어렵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렇지만, 어떤 부분에서는 숫자로 계산해 보고 추정하는 부분이 재미있기도 합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지금보다는 실제로 어떻게 시장규모를 만들어야 할지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