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시리즈/개미의 투자

내 주식 공매도가 얼마나 있는지 아는 방법은?

by 마이티우스 2025. 4. 1.
반응형

드디어 공매도가 국내 증시에서 재개가 되었습니다. 지금까지는 공매도가 잠시 정지가 되어있던 상황이었지만, 다시금 재개가 되었는데요. 한 가지 아쉬운 점은 트럼프 관세로 인한 미국 증시의 하락 소재, 그리고 국내 정치의 불안정함, 국가 기반 사업의 글로벌 경쟁력 약화 등으로 인해서 주가가 바닥을 기고 있는 이 시점에서 다시금 재개가 된다는 점입니다.

반응형

공매도란

공매도란 현재 주식이 과도하게 높은 수준이라고 생각하고, 미래에는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쪽으로 배팅을 하는 방법입니다. 어떻게 하느냐? 나는 주식이 없는데,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해당 주식을 빌려서, 지금 가격에 매도하고 미래 시점에서 주식을 사서 되갚는 방법입니다. 그리고 이게 공매도 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서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현재 A라는 기업 주식이 10만원인데, 너무 비싸다고 느낌
  • A기업의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빌려서 10만 원에 팜. 이때, 주식을 빌려준 사람에게는 수수료를 제공함
  • A기업 주식이 하락: 만약 갚아야하는 시점에서 A기업이 주식이 4만 원이면, 나는 4만 원에 주식을 사서 빌려준 사람에게 돌려주고, 차익을 실현
  • A기업의 주식 상승 : 만약 20만원으로 주가가 상승했다고 하면, 해당 가격에 빌려준 사람에게 되갚아야 하고, 수수료와 주식 차액에 대한 손실이 발생.

즉, 나는 주식이 없는데, 빌려서 주식을 팔고 일정시점에 되갚는 것을 의미합니다.

공매도는 주식의 거품을 빼는 순기능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특정 주식이 너무 거품이 많이 켜서, 주가가 너무 과도하게 올랐을 경우, 공매도를 통해서 가격을 낮추는 기능을 하지만, 중요한 점은 현재 국내 시장에서는 이러한 조건이 발생될 가능성이 적다는 점입니다.

공매도 지표 알아보고 분석하기

공매도가 시작되면, 개미들의 생존 전략이라고 기사들이 나오는데, 정리하자면 크게 3가지로 나옵니다.

실적 대비 주가 높은 종목을 공매도 한다

실적 대비 주가 낮은 저평가 기업을 매수한다

시가 총액이 커서 공매도의 타격이 덜한 우량주를 장기로 분할매수 한다.

어떠신가요? 공매도의 생존전략이라고 하는데, 전혀 공감은 되지 않습니다. 저런 주식은 공매도가 있던 없던, 당연히 투자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그리고 실적 대비 주가가 높은 종목은 공매도를 한다고 했는데, 그게 개인으로서 가능한지가 의문입니다.

저는 저런 이야기보다는 2가지 지표를 살펴봅니다. 바로 KRX정보데이터시스템과 증권정보포탈에서 종목별 대차거래 현황을 참고합니다.

KRX 정보데이터시스템에서 공매도 비중 확인하기

 

📌 KRX 정보데이터 시스템 바로가기

KRX의 사이트를 들어가면 개별종목의 공매도 순보유잔고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비중이 높은 순으로 정렬을 하면, 순위별로 나오는데 이러한 종목들이 가장 많이 공매도가 있다는 것이고, 하락에 배팅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니 주가가 내려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번 여러분이 지금 가지고 계시는 종목들이 얼마나 있는지, 그리고 어느 정도 순위에 있는지 알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한국예탁결제원(KSD)의 증권정보포탈(SEIBro)의 종목별 대차거래 현황확인

📌증권정보포탈(SEIBro) 바로가기

그다음은 SEIBro에서 종목별 대차 거래 현황을 확인해 보는 것입니다.

대차잔고란, 주식을 대여하고 상환하는 과정에서 아직 상환하지 않는 주식의 수량을 뜻하는 것인데요. 한 마디로 갚아야 할 물량이 얼마나 남아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하단을 보면, 얼마나 갚아야 하는지 금액도 수량도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만약 주식을 갚아야 할 물량이 많은 주식이라면, 주식이 하락할 가능성이 높고, 잔고가 낮으면 보통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내가 주식을 빌려서 갚아야 하는 물량이 많은데, 주가가 높으면 안 되니 당연히 주가를 낮추는 작업들을 해야겠지요. 

그러나 대차잔고와 주가가 동반으로 하락하는 경우, 상승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공매도도 없는데, 주가가 과거 비교해서 낮은 상태로 저평가된 상태라면, 공매도도 당연히 들어오지 않고 주가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공매도가 들어왔을 때, 살펴보면 좋을 사이트들을 추천해 드렸는데, 어떠신가요?

공매도가 재개된 오늘 코스닥이 3%가 빠졌습니다. 증시 전체가 3%가 빠졌다는 것은 개별종목의 낙폭은 더 컸을 것을 의미합니다. 아무쪼록 국내 주식시장은 개인 투자자에게는 별로 좋은 조건의 투자 환경이 아닙니다. 

그래도 근로소득 외에도 투자 소득이 필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희는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닌가요? 이렇게 투자를 하는 데 있어서, 조금이라도 개인 투자자들이 수익을 낼 수 있었으면 합니다.

반응형